분해합 성공다국어
한국어
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
2 초 | 192 MB | 105969 | 48544 | 38230 | 45.285% |
문제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 복사
216
예제 출력 1 복사
198
<코드>
#include<stdio.h>
int main(void){
int N, temp, num;
scanf("%d", &N);
for(int i=1; i<1000000;i++){
temp = i;
num = i;
while(temp>0){
num+=temp%10;
temp/=10;
}
if(num==N){
printf("%d", i);
N=0;
break;
}
}
if(N!=0) printf("0");
return 0;
}
<설명>
모든 경우의 수를 검사하는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하는 문제였다.
'백준 알고리즘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3584(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) C++ (0) | 2022.12.01 |
---|---|
백준 11659(구간 합 구하기 4) C언어 (0) | 2022.11.18 |
백준 14425(문자열 집합) C++ (0) | 2022.11.17 |
백준 1956(운동) C++ (0) | 2022.11.10 |
백준 1766(문제집) C++ (0) | 2022.11.07 |